파티클보드(PB)
작은 목재 삭편(削片, particle)에 접착제를 분무하고 열압체 방법을 적용하여 판상으로 성형, 제조한 목질 판상재료를 말한다. 제조시 이용된 목재 삭편의 종류에 따라 Flakeboard, Strandboard, Waferboard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려지고 있다.
1. 원하는 크기, 비중, 강도 및 외관을 나타내는 판상재료 및 여러 성형제품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음
2. 방향에 따른 강도, 팽창 및 수축 등의 차이를 거의 해소할 수 있으므로 뒤틀림도 거의 일어나지 않음
3. 단열성, 차음성, 난연성이 목재나 합판보다 큰 편임
4 가공하기가 쉬움
5. 목재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원료를 집약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음. 예를 들면, 현재까지의 목재 이용법의 경우 제재목이나 판재의 수율이 입목의 20∼40%인데 비해 삭편판의 경우 약 80% 까지 높일 수 있음
6 . 원료의 형상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므로 가격이 저렴한 목재라면 어느 것이나 모두 이용할 수가 있음
7. 제조 공정이 비교적 간단
- 주요 수입처 : 태국, 중국
- 낱장 판매는 일부 규격으로 제한되며 BUNDLE판매를 기준으로 합니다.
작은 목재 삭편(削片, particle)에 접착제를 분무하고 열압체 방법을 적용하여 판상으로 성형, 제조한 목질 판상재료를 말한다. 제조시 이용된 목재 삭편의 종류에 따라 Flakeboard, Strandboard, Waferboard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려지고 있다.
1. 원하는 크기, 비중, 강도 및 외관을 나타내는 판상재료 및 여러 성형제품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음
2. 방향에 따른 강도, 팽창 및 수축 등의 차이를 거의 해소할 수 있으므로 뒤틀림도 거의 일어나지 않음
3. 단열성, 차음성, 난연성이 목재나 합판보다 큰 편임
4 가공하기가 쉬움
5. 목재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원료를 집약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음. 예를 들면, 현재까지의 목재 이용법의 경우 제재목이나 판재의 수율이 입목의 20∼40%인데 비해 삭편판의 경우 약 80% 까지 높일 수 있음
6 . 원료의 형상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므로 가격이 저렴한 목재라면 어느 것이나 모두 이용할 수가 있음
7. 제조 공정이 비교적 간단
- 주요 수입처 : 태국, 중국
- 낱장 판매는 일부 규격으로 제한되며 BUNDLE판매를 기준으로 합니다.